전체 글
-
16. 도커(Docker)를 사용해보자스프링개발자/201 - 일반 2020. 8. 3. 02:30
[배경] 도커(Docker)를 쓰면 어플리케이션이 환경에 얽매이는 문제를 해결해준다. 예를들어, 내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가 MySQL인데, 도커를 쓰면 다른 OS시스템에 갈때마다 설정을 다시 할 필요가 없다. MongoDB, Jenkins 등등 다른 환경 dependency또한 하나의 도커에 모두 올려서 구동하면, 어디에서나 나의 도커 환경을 불러와서 별도의 셋업없이 바로 구동할 수 있는 Platform as a service(PaaS)이다. 로컬에서 도커를 띄우는 연습을 해보자. 도커개념 설명 유튜브 비디오 by "얄팍한 코딩사전" https://www.youtube.com/watch?v=tPjpcsgxgWc [학습목표] 도커가 무엇인지 이해한다 도커를 설치할 수 있다 도커 이미지를 설치할 수 있..
-
15. 외부 API를 호출해보자스프링개발자/201 - 일반 2020. 8. 1. 07:06
[배경] Vehicle Routing Problem(VRP)에서 Routing을 하기 위해서는 맵 정보가 필요하다. A,B,C 라는 장소가 있으면 A에서 B까지의 거리, A에서 C 까지의 거리, B에서 A까지 등등, 3x3 matrix가 필요하다. 이 Matrix를 ODMatrix라고 부른다. OD는 Origin Destination의 약자이다. ODMatrix를 구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두 위치의 lat,long coordinate의 차이를 구해서 속도로 나눠서 travel time을 구하는 단순한 방법도 있다. 하지만 교통상황 등을 고려하기 위해서 현실에서는, Heremaps와 같은 mapping provider 외부 api를 호출한다. 이 글에서 Heremaps의 api를 호출해서 이 OD Mat..
-
1. 미국 법인 설립온라인창업 2020. 7. 30. 01:06
미국 법인 설립 없이, 브랜드만을 등록해서 개인판매자로 진행 할 수 있다. 하지만 규모가 커지고, 여러 브랜드를 런칭하게 된다면 법인 설립이 유리하다. 그 이유를 생각해보자. 1) 법인을 설립함으로 법인을 책임지게 될 의무는, 개인에게 전가되지 않는다. 2) 법인 은행계좌를 만들어 개인돈이 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3) 브랜드 확장에 유연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두가지 옵션이 있다. S Corp vs LLC 장기적으로 보면 다르겠지만, 일단 시작하는 입장에서는 크게 차이가 없는거 같다. 좀 더 빠르게 시작 할 수 있는 S Corp로 시작한다. C Corp는 이중과세의 단점으로 소규모 법인에서는 장점이 없다. 절차는, 일단 주 정부에 C Corp를 등록해야 하고, 법인이 설립된 다음에 우리 법인을 S ..
-
0. 온라인 창업을 기획하며온라인창업 2020. 7. 30. 00:56
[배경] 나는 프로그래밍을 하는 개발자이다. 개발자 일을 하며 새로 알게된 내용을 블로그에 틈틈히 정리하는 중에 있고, 주말에는 교회에서 음향, 방송 송출 등의 일을 도와주기도 한다. 아내는 나보다 바쁘게 일을 하는 상황이다. 육아도 해야하는데 이 와중에 두둥. 창업을 기획한다. 아마존 FBA서비스를 통해서, 판매상품을 내 창고에 쌓아두지 않고, 고객관리 홍보 및 배송 등등을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중국의 생산 공장에 충분한 네트워크가 있고, 일본에서도 좋은 물건을 발견하면 수입해 올 수 있는 인맥이 있다. 한국에도 믿을만한 사업체와 자금이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 어려운 여건이지만, 온라인 창업을 기획한다. 새로 알게 된 내용은, 블로그로 정리 글을 써야 기억에 오래 남아서 온라인 창업 카테고리를 시작하..
-
14. 스플렁크 Splunk 시작하기스프링개발자/201 - 일반 2020. 7. 25. 12:35
[배경] 우리 팀 spring application API endpoint 를 호출하는 다른 팀이 다음주부터 production stage에 들어간다. 우리 팀 software engineer anchor가 걱정이 많다. 우리 프로젝트가 직접 production에 들어가려면 몇달 남았지만, 이번기회로 프로젝트의 완성도가 높아졌으면 좋겠다. 그래서 도입하는것이 스플렁크 Splunk이다. 우리 회사에서는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으므로, 단순히 절차에 따라서 신청만 하면 된다. 하지만 그 이후에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하고 관리하고 분석하고 모니터하고 알림설정하고.. 등등의 활용여부가 제품의 퀄리티 향상 폭을 결정할 것이다. What is Splunk? It is a software for searching, mon..
-
회사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잘 한다는 것은?회사생활_주절주절 2020. 7. 24. 00:24
회사에서 오늘 큰 미팅이 있었다. PLR(Product Line Review)라고 불리우는, 우리 팀을 포함한 우리 부서의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는 미팅이다. 30분의 시간을 각 팀이 할당 받아서, 그 시간안에, 정해진 포멧에 따라 팀 업데이트를 하고 방향성을 점검하며, 높은 사람들의 피드백을 받고, 그들의 도움을 요청하는 그런 시간이었다. 우리 product manager가 정말 발표를 잘했다. 우리 팀이 무슨 팀이고, 어떤 일을 해왔는지, 앞으로 어떤 일을 할 것이고, 그런 방향성에 이유는 무엇인지, 필요한 도움이 무엇인지를 짧은 시간내에 전부 커버했다. 물론 회사의 포멧에 따라서 한 발표였지만, 다른 팀의 발표를 보면, 같은 포멧이 주어졌는데도 불구하고, 우리 매니저처럼 발표를 잘 하진 못한..
-
13. 자바 어노테이션을 만들고 task와 함께 사용하자스프링개발자/201 - 일반 2020. 7. 23. 09:13
[배경] 자바로 코딩하다보면, 다음과 같은 어노테이션을 많이 본다 @SpringBootApplication @Override @Controller @RestController @Service @Configuration @Getter 어노테이션은 블랙박스와 같다. 그 안에 뭐가 들어 있는지, 어떻게 행동하는지 분명하진 않지만, 그냥 추가만 하면 마법처럼 작동한다. 이 글에서는 어노테이션의 정의를 알아보며 직접 만들어보고, 어떻게 실제 코드에 사용할지 생각해보자. 어노테이션 역사가 궁금하다면 해당 문서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Java_annotation#History 1. 어노테이션이 뭐지? 아래 그림의 왼쪽 window 6번줄을 보면 @SpringBootApplicati..
-
12. 그레이들 task 간단히 만들기 - 튜토리얼스프링개발자/201 - 일반 2020. 7. 22. 09:17
[배경] 스프링 개발자라면 maven과 gradle 중에 하나를 빌드 툴로 사용하게 된다. 필요한 외부의 라이브러리(의존성)들을 쉽고 빠르게 import할 수 있다. 본 글은 아래의 gradle의 공식 튜토리얼 문서를 참고 했다. https://docs.gradle.org/current/userguide/tutorial_using_tasks.html#tutorial_using_tasks 1. Hello World `build.gradle` 파일이 핵심 파일이다. 프로젝트 의존성을 관리할 수 있고, task또한 추가 할 수 있어서이다. Everything in Gradle sits on top of two basic concepts: projects and tasks. Gradle에 있는 모든 것들은 결국..